분류 전체보기35 4. 훌륭한 견주가 되는 방법 강아지 입양을 고려 중인 초보 견주의 경우 이런저런 걱정과 고민이 있을 거예요. 내가 잘 키울 수 있을지, 혹여 강아지가 아프거나 잘못되면 어떡하지? 등등 말이죠. 앞서 제가 올린 글들을 처음부터 읽어보셨다면 아마도 조금은 그 걱정들이 해소되셨을 거예요. 그렇지 않다면 저의 글을 처음부터 정독해보신다면 아마 도움이 될 겁니다. ^^ 저는 훌륭한 견주가 되기 위해 몇가지 경험과 고정적으로 하는 공부들이 있는데요. 예전 강아지를 키워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이런 일련의 일들이 버겁거나 지루하지 않습니다. 알고 접근하는 것과 모르고 접근하는 것은 시작부터 다르니까요. 하지만 제 글을 읽는 분들은 경험이 있는분도, 없는 분들도 계시잖아요? 저는 아주 쌩초보가 제 글을 읽는다 가정하고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처.. 2021. 10. 3. 3. 내가 원하는 강아지 직접 보고 정하자! / 반려동물 잘 선택하는 방법! 내가 어떤 강아지를 키우고 싶은지는 아마 마음속으로 어느 정도 생각을 하고 계실 거예요. 유튜브도 찾아보고, 사진 검색도 해보면서 속으로 귀여워!!를 수십 번 수백 번 외치면서 말이죠. 하지만 화면으로 보는 것과 실제 보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더군요. 일단 저는 털이 덜 빠지는 견종을 찾았습니다. 그랬더니 제 마음에 드는 견종 3개가 나오더군요. 1) 푸들 2) 말티즈 3) 비숑 그런데 복병이 생겼습니다. 딸아이가 포메라니안이 예쁘다고 매일 제 핸드폰으로 이 견종을 찾아 보는 거예요! 실제 저는 포메라니안을 보고 안아도 봤습니다. 털이 정말 복슬복슬하더군요. 찾아보니 털 관리가 필수로 필요한 견종이고, 털도 정말 많이 빠지는 견 중 하나였죠. 딸이 예쁘다고 하니 아들도 더불어 서서히 마음을 뺏기는 모습을.. 2021. 10. 2. 2. 반려동물 들이기 전 꼭 해야 할 예행 연습 / 아이들과 함께 반려동물을 키울 예정인 분들은 꼭 보세요! 저는 어렸을 때부터 강아지, 고양이, 새, 토끼를 키워봤는데요. 사실 제가 키웠다기보다는 부모님이 키우신 거죠. 저는 옆에서 예뻐하기만 했으니까요. 그중 강아지를 가장 많이 그리고 오랫동안 키웠는데요. 그렇다 보니 우리 가족과 함께할 반려동물을 생각할 때 1순위가 강아지였습니다. 물론 고양이도 예쁘고 귀엽지만, 제가 키우기에는 저와 성향도 맞지 않고 쉽게 다가가기 어려웠거든요. 남편도 고양이 보다는 강아지를 더 좋아하고요. 딸아이는 고양이도 키우고 싶다고 하지만, 그건 직접 키워보지 않으면 모르기 때문에 먼저 강아지부터 키워보자 이야기를 했답니다. 어차피 주 양육자는 제가 될 테니 말이죠. 저는 강아지를 키워본 경험이 있지만, 주 양육자는 아니었기 때문에 연습이 필요했습니다. 자! 내가 원하는 강아지를 .. 2021. 10. 1. 1. 내가 원하는 반려동물 찾기 전 꼭 알아야 할 사항 여러분은 우리나라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얼마나 되는지 아시나요? 아! 이걸 묻기 전 우리나라 인구수가 얼마나 되는지 물어야겠군요. 우리나라 인구가 5,000만명이 넘는다는 사실은 알고 계실 겁니다. 그래도 더 정확한 수를 말씀드리자면요. 2021년 9월 현재 총 5,182만 1,669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대략 5,180만명이라 생각해보시죠! 자! 이제 본론으로 들어와 우리나라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수에 대해 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내용을 위해 자료를 찾아보니, 우리나라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는 1,5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더군요. 실제로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21년 한국반려동물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한국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는 전체 29.7%인 .. 2021. 9. 30. 초보자를 위한 티스토리 블로그 만들기 전 꼭 해야 할 것들! 안녕하세요. 저는 작년 추석 티스토리 계정을 만들었는데요. 이제서야... 첫번째 글을 쓰고 있습니다. 아니 첫번째 글을 쓰는 주제에 티스토리 블로그 만들기에 대한 글을 어이없다 생각하는 분도 계시겠네요. 두가지 변명을 하자면, 첫째는 주제에 대한 고민이 길어졌고, 두번째는 방황했습니다. 제가 왜 첫번째 글을 쓰기까지 이렇게 긴 공백이 있었을까요? 저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생각하는 그것이 같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것이 무엇일까요? 바로 티스토리로 글을 써서 수익화를 시키고 싶은데 막상 당장의 실천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여러분과 제가 왜 글을 쓰는것이 힘든지 한번 나열해 보겠습니다. 1. 네이버 블로그는 만들기가 쉬운데 티스토리는 어렵다. (약간의 장벽이 있다.) 2. 티스토리 계정을 어찌어찌 .. 2021. 2. 17. 이전 1 2 3 4 다음